자살예방 위해 ‘심리부검’ 활성화 시급
정신간호사들 자살예방 간호중재 적극 시행해야
[편집국] 김보배기자 bbkim@koreanurse.or.kr 기사입력 2010-05-26 오전 09:29:47
정신간호사들이 자살예방에 앞장서야 한다. 자살한 사람의 가족과 지인 등 생존자의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해 심리부검이 활성화돼야 한다.
정신간호사회(회장·장화순)는 ‘자살예방을 위한 간호접근’ 주제로 5월 14일 춘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주제강연을 한 이광자 이화여대 간호과학부 교수는 “정신간호사들은 임상현장에서 자살을 생각하는 사람들을 보고 경험하면서 얻은 지식과 노하우를 갖고 있다”면서 “환자 곁에서 24시간 함께 하면서 자살의 전조증상·경고신호 등을 신속·정확하게 판단하고, 적절한 중재를 적용할 수 있는 전문가”라고 말했다.
“자살은 또 다른 자살을 유도하고, 사회를 불안정하게 만들며, 생명경시 풍조를 만연시키는 등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면서 “정신간호사들이 자살예방에 앞장서야 하며, 자살을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마음으로 다가가고 다양한 기법을 활용해 그 사람에게 맞는 간호중재를 적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자살의 사후 예방법 중 하나인 심리부검이 활성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리부검은 사망자 가족과 지인들의 진술을 수렴해 자살자의 심리상태를 파악하고, 가능성이 높은 자살 원인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미국·영국·호주·홍콩 등에서는 국가 검시관이 신체부검과 함께 심리부검을 시행하고 있다.
심리부검은 사망자 가족 등 생존자의 고통과 사회적 여파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부검 중 이뤄지는 인터뷰는 일종의 카운슬링의 효과를 나타낸다. 사망자 가족과 지인들은 슬픔을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죄책감이나 원망이 줄어들고, 고통이나 우울 등의 감정을 헤쳐 나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심리부검 결과는 맞춤형 자살예방대책을 마련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보건복지부는 2013년까지 자살사망률을 10만명 당 20명 미만(2008년 기준 26.0명)으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자살예방종합대책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 자살위기대응팀 확충, 심리부검 실시, 자살예방교육 강화, 생명존중운동 전개, 자살예방 인프라 구축 등이 핵심이다. 지난해에는 심리부검을 위해 15건의 사례가 수집됐으며, 이중 자살원인이 밝혀진 것은 7건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