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널리뷰-환자 안전관리 `CRM' 도입
[서울대병원] 신효연 news@nursenews.co.kr 기사입력 2006-08-10 오후 13:20:58
CRM(Crew resource management, 승무원 자원관리)은 1979년 항공산업에서 시작됐다. 승무원들의 특징을 관찰해 인지나 사회성 같은 기술을 개발시키고, 과실이나 오류를 개선하는데 사용돼 왔다. 1999년부터 환자의 안전과 오류를 관리하기 위해 건강의료산업에서 적용하기 시작했다.
CRM은 병원에서도 유용하다. 팀 구성원의 안전과 업무성과를 증진시킨다. 또 의사소통, 의사결정, 대인관계, 팀 협력과 리더십을 집중적으로 훈련받게 되므로 직원들의 태도와 행동, 오류 건수가 크게 개선된다. 여러 연구결과 오류 건수가 줄고, 중환자실 환자 체류시간이 줄고, 팀 만족도가 향상되고, 간호사의 이직률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CRM 성공을 좌우하는 핵심요소는 의사소통이다. 의사소통은 CRM 과정의 중심이며 브리핑, 질문, 옹호, 자기주장, 자기비평, 갈등해결, 그리고 의사결정이 포함된다.
의사는 의료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간호사와 달리 직접적이고 간결한 언어를 사용하며, 간호사의 자기주장을 어렵게 만든다. 그러나 어떤 상황에서든 간호사는 환자의 안전이 위협을 받게 될 때 자기주장을 확실히 함으로써 자신의 의무를 다해야 한다.
자기비평은 자신의 실수에 대해 관심을 갖게 만들고, 서로의 실수로부터 배우고 해결책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된다. 실수가 발생한 원인에 대해 이해하는 것은, 작업환경에서 존재하는 위협요인들을 깨닫고 예방 전략에 집중하게 해주므로 중요하다.
효과적인 갈등해결을 위해서는 `누가 옳은가'가 아닌 `무엇이 옳은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상대에게 존경심을 보이고, 잘 경청하며, 감정적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많은 병원들이 일정한 형식을 갖춰 개인의 갈등을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의사결정 훈련과정에는 지각된 문제, 개인과 그룹 간의 의사결정 차이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포함된다. 의사들이 간호사를 비롯한 다른 동료들과 하나의 팀으로서 환자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동료들의 관찰과 사정에 근거해 의사결정을 한다면 보다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의사소통이 원활해지면 어떤 오류가 나쁜 결과를 가져오기 전에 예방하고 미리 알아내고, 완화시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조직 내에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요소가 존재하는 한 CRM은 충분하고 실제적인 효과를 거둘 수 없다. CRM 프로그램은 환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불행한 사고를 줄이고, 환자의 상태를 증진시키는 가장 좋은 결과를 가져다준다.
*원저:미국수술간호협회(AORN) 저널 2006년 1월호 My copilot is a nurse-Using crew resource management in the OR
신효연 서울대병원 수련 수간호사
CRM은 병원에서도 유용하다. 팀 구성원의 안전과 업무성과를 증진시킨다. 또 의사소통, 의사결정, 대인관계, 팀 협력과 리더십을 집중적으로 훈련받게 되므로 직원들의 태도와 행동, 오류 건수가 크게 개선된다. 여러 연구결과 오류 건수가 줄고, 중환자실 환자 체류시간이 줄고, 팀 만족도가 향상되고, 간호사의 이직률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CRM 성공을 좌우하는 핵심요소는 의사소통이다. 의사소통은 CRM 과정의 중심이며 브리핑, 질문, 옹호, 자기주장, 자기비평, 갈등해결, 그리고 의사결정이 포함된다.
의사는 의료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간호사와 달리 직접적이고 간결한 언어를 사용하며, 간호사의 자기주장을 어렵게 만든다. 그러나 어떤 상황에서든 간호사는 환자의 안전이 위협을 받게 될 때 자기주장을 확실히 함으로써 자신의 의무를 다해야 한다.
자기비평은 자신의 실수에 대해 관심을 갖게 만들고, 서로의 실수로부터 배우고 해결책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된다. 실수가 발생한 원인에 대해 이해하는 것은, 작업환경에서 존재하는 위협요인들을 깨닫고 예방 전략에 집중하게 해주므로 중요하다.
효과적인 갈등해결을 위해서는 `누가 옳은가'가 아닌 `무엇이 옳은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상대에게 존경심을 보이고, 잘 경청하며, 감정적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많은 병원들이 일정한 형식을 갖춰 개인의 갈등을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의사결정 훈련과정에는 지각된 문제, 개인과 그룹 간의 의사결정 차이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포함된다. 의사들이 간호사를 비롯한 다른 동료들과 하나의 팀으로서 환자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동료들의 관찰과 사정에 근거해 의사결정을 한다면 보다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의사소통이 원활해지면 어떤 오류가 나쁜 결과를 가져오기 전에 예방하고 미리 알아내고, 완화시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조직 내에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요소가 존재하는 한 CRM은 충분하고 실제적인 효과를 거둘 수 없다. CRM 프로그램은 환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불행한 사고를 줄이고, 환자의 상태를 증진시키는 가장 좋은 결과를 가져다준다.
*원저:미국수술간호협회(AORN) 저널 2006년 1월호 My copilot is a nurse-Using crew resource management in the OR
신효연 서울대병원 수련 수간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