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안전 위해 포괄간호서비스 확대 시급
[편집국] 김숙현기자 shkim@koreanurse.or.kr 기사입력 2015-08-11 오후 13:06:50
메르스 사태를 계기로 포괄간호서비스의 필요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확산됐다. 병원감염 예방과 환자안전 강화를 위해 포괄간호서비스를 확대하고 정착시키는 데 힘을 모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포괄간호서비스 확대 전략 및 제도화 방안’을 주제로 건강보장 정책세미나를 8월 6일 개최했다.
이날 주제발표를 한 안형식 고려대 의대 교수는 “메르스 사태의 원인 중 하나로 가족과 사적 간병인에 의한 간병문화가 꼽히고 있다”면서 “메르스를 겪으며 포괄간호서비스 필요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됐으며, 환자안전과 국민 의료비 부담 완화를 위해 포괄간호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토론자로 나선 곽월희 대한간호협회 부회장은 “포괄간호서비스 확대를 위해서는 간호인력 수급문제를 우선 해결해야 한다”면서 “간호사의 병원 간·지역 간 임금격차 해소, 근로 여건 개선, 취업교육센터 설치·운영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공공병원 간호사 확보를 위해 공중보건간호사제도 도입과 공중보건장학특례제 활성화 등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조승아 보건복지부 보험정책과 사무관은 “메르스로 인해 포괄간호서비스에 대한 국민과 정부, 의료계의 관심과 요구가 어느 때보다 높아져 있다”면서 “이번 사태를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아 포괄간호서비스의 확대와 정착을 추진해 나갈 것이며,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의견수렴을 통해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포괄간호서비스는 국민들의 간병 부담을 해소하고 입원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 도입됐다.
정부와 건보공단은 2013년 7월부터 추진해온 ‘포괄간호서비스 1, 2차 시범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1월부터 포괄간호서비스에 건강보험을 적용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서울을 제외한 전국의 종합병원과 병원 대상이며, 7월 기준 전국 54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상급종합병원, 서울지역 종합병원과 병원의 경우 2018년 시행 목표였던 것을 메르스 사태를 계기로 내년부터 앞당겨 시행할 계획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포괄간호서비스 확대 전략 및 제도화 방안’을 주제로 건강보장 정책세미나를 8월 6일 개최했다.
이날 주제발표를 한 안형식 고려대 의대 교수는 “메르스 사태의 원인 중 하나로 가족과 사적 간병인에 의한 간병문화가 꼽히고 있다”면서 “메르스를 겪으며 포괄간호서비스 필요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됐으며, 환자안전과 국민 의료비 부담 완화를 위해 포괄간호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토론자로 나선 곽월희 대한간호협회 부회장은 “포괄간호서비스 확대를 위해서는 간호인력 수급문제를 우선 해결해야 한다”면서 “간호사의 병원 간·지역 간 임금격차 해소, 근로 여건 개선, 취업교육센터 설치·운영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공공병원 간호사 확보를 위해 공중보건간호사제도 도입과 공중보건장학특례제 활성화 등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조승아 보건복지부 보험정책과 사무관은 “메르스로 인해 포괄간호서비스에 대한 국민과 정부, 의료계의 관심과 요구가 어느 때보다 높아져 있다”면서 “이번 사태를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아 포괄간호서비스의 확대와 정착을 추진해 나갈 것이며,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의견수렴을 통해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포괄간호서비스는 국민들의 간병 부담을 해소하고 입원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 도입됐다.
정부와 건보공단은 2013년 7월부터 추진해온 ‘포괄간호서비스 1, 2차 시범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1월부터 포괄간호서비스에 건강보험을 적용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서울을 제외한 전국의 종합병원과 병원 대상이며, 7월 기준 전국 54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상급종합병원, 서울지역 종합병원과 병원의 경우 2018년 시행 목표였던 것을 메르스 사태를 계기로 내년부터 앞당겨 시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