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의료서비스 체계 개편 추진
응급의료기관 전문인력·운영기준 강화
[편집국] 박바른기자 brpark@koreanurse.or.kr 기사입력 2013-02-13 오전 08:29:35
정부가 응급의료서비스 체계를 효율적으로 개편하기 위해 2017년까지 약 1조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보건복지부는 “응급상황에서 신속하고 적절한 응급의료를 제공하기 위해 `2013∼2017년 응급의료기본계획(안)'을 마련했다”며 “기본계획 추진에 약 1조원을 투자할 예정”이라고 2월 6일 밝혔다.
복지부는 이번 계획안의 목표를 `국민 중심의 믿을 수 있는 응급의료 제공'으로 정하고 △응급의료 제공체계 다양화 △중증응급질환 대처능력 향상 △차별 없는 응급의료서비스 제공 등 기본계획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응급의료 제공체계 다양화를 위해 우선 응급의료기관의 체계를 개편한다.
현재 권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기관으로 나뉘어 있는 응급의료기관을 응급의료센터와 지역응급의료기관 2단계 체계로 개편한다.
응급의료센터는 의료기관의 전문성을, 지역응급의료기관은 환자의 접근성을 강화한다.
성과평가를 통해 3년 주기 지정·재지정 제도를 도입하고 평가 결과가 미흡한 응급의료기관은 지정을 취소한다. 상급종합병원 지정 시 중증응급환자 진료실적을 반영할 계획이다.
응급의료기관의 전문인력과 운영기준 등을 강화해 신속한 응급처치와 치료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119 응급의료상담을 통해 24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도 내놓았다.
중증응급질환에 대한 대처능력 향상을 위해 2015년까지 권역외상센터 17곳을 균형 배치하고, 외상외과 세부전문의 300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응급수술이나 시술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지역 내 분야별 순환당직제도를 도입해 의료자원 활용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초·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심폐소생술 실습교육도 강화한다.
차별 없는 응급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도서·산간 내륙 등지에는 닥터헬기 등 헬기이송체계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또 농어촌 지역응급의료기관의 운영비 지원을 확대해 해당 지역에 24시간 응급의료서비스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보건복지부는 “응급상황에서 신속하고 적절한 응급의료를 제공하기 위해 `2013∼2017년 응급의료기본계획(안)'을 마련했다”며 “기본계획 추진에 약 1조원을 투자할 예정”이라고 2월 6일 밝혔다.
복지부는 이번 계획안의 목표를 `국민 중심의 믿을 수 있는 응급의료 제공'으로 정하고 △응급의료 제공체계 다양화 △중증응급질환 대처능력 향상 △차별 없는 응급의료서비스 제공 등 기본계획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응급의료 제공체계 다양화를 위해 우선 응급의료기관의 체계를 개편한다.
현재 권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기관으로 나뉘어 있는 응급의료기관을 응급의료센터와 지역응급의료기관 2단계 체계로 개편한다.
응급의료센터는 의료기관의 전문성을, 지역응급의료기관은 환자의 접근성을 강화한다.
성과평가를 통해 3년 주기 지정·재지정 제도를 도입하고 평가 결과가 미흡한 응급의료기관은 지정을 취소한다. 상급종합병원 지정 시 중증응급환자 진료실적을 반영할 계획이다.
응급의료기관의 전문인력과 운영기준 등을 강화해 신속한 응급처치와 치료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119 응급의료상담을 통해 24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도 내놓았다.
중증응급질환에 대한 대처능력 향상을 위해 2015년까지 권역외상센터 17곳을 균형 배치하고, 외상외과 세부전문의 300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응급수술이나 시술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지역 내 분야별 순환당직제도를 도입해 의료자원 활용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초·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심폐소생술 실습교육도 강화한다.
차별 없는 응급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도서·산간 내륙 등지에는 닥터헬기 등 헬기이송체계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또 농어촌 지역응급의료기관의 운영비 지원을 확대해 해당 지역에 24시간 응급의료서비스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