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32주년 특집-보완대체 교과과정 개설 현황
[편집국] 편집부 news@koreanurse.or.kr 기사입력 2008-10-28 오후 16:14:04
◇간호대학 절반 정도 교과목 개설
◇주로 2학점 운영 … 실습은 저조
보완대체요법은 인간의 총체적 균형의 조화를 중요시하는 패러다임이므로 간호학이 지니는 인간관과 유사하며, 또한 세계보건기구의 건강 정의에 포함된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해서도 매우 유용한 간호중재법이다.
보완대체요법이 간호중재로서 적용 개발되고 치료적 가치가 있으며 교과과정으로 도입하는데도 긍정적이라는 연구가 제출됐다. 또한 보완대체요법이 비과학적인 민간치료법이 아니라 건강을 유지 증진하는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현대의학을 보완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그러나 이를 간호사들이 실제 실무에서 적용하는 사례는 적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향후 간호사들이 환자의 요구에 맞는 보완대체요법을 적절하게 적용하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국내 간호교육기관의 보완대체요법 교육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인터넷에 교과과정과 교과목이 소개된 간호교육기관(3년제, 4년제, 석사, rn-bsn) 185곳과 전화 면담한 14곳 등 총 199곳을 조사했다. 보완대체요법 교과목 개설 유무, 개설 교과목 수, 이수학년, 이수학점, 실습 실시 여부, 교과목 명칭 등을 분석했다. 보완대체요법의 범위는 미국 보완대체치료센터(nccam)에서 규정한 서양 정통의학 이외의 모든 영역, 즉 한의학과 중의학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했다.
체계적인 교육 필요
2008년 9월 현재 보완대체요법 교과과정을 개설 운영하고 있는 곳은 조사대상 199개교 중 88개교(44.2%)였다. 3년제 34곳, 4년제 30곳, rn-bsn 7곳, 석사 17곳이었다.
교과목 이수학년을 살펴보면 3년제(50교과목)의 경우 1학년 16개 교과목(32.0%), 2학년 22개 교과목(44.0%), 3학년 12개 교과목(24.0%)이었다. 4년제(50교과목)의 경우 1학년 7개 교과목(14.0%), 2학년 18개 교과목(36.0%), 3학년 16개 교과목(32.0%), 4학년 9개 교과목(18.0%)으로 나타났다.
교과목 이수학점은 2학점이 가장 많았다. 3년제는 1학점 8개(16.0%), 2학점 40개(80.0%), 3학점 2개(4.0%)였다. 4년제는 1학점 6개(12.0%), 1.5학점 1개(2.0%), 2학점 39개(78.0%), 3학점 1개(2.0%), 4학점 이상 3개(6.0%)였다.
교과목 수는 1개 과목을 개설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3년제(34개교)의 경우 1과목 25곳(73.5%), 2과목 6곳(17.6%), 3과목 2곳(5.9%), 7과목 1곳(3.0%)이었다. 4년제(30개교)의 경우 1과목 18곳(60.0%), 2과목 7곳(23.4%), 3과목 3곳(10.0%), 4과목 1곳(3.3%), 7과목 1곳(3.3%)이었다. 실습을 개설한 곳은 3년제 6곳(17.6%), 4년제 9곳(30.0%)에 불과했다.
교과목 명칭 다양
우리나라 94개 간호교육기관에서 이용하고 있는 보완대체요법 교과목 명칭은 대체간호, 대체요법간호, 보완대체요법, 보완대체 간호기법, 동서보완간호학, 한방간호학, 한의학 개론, 전통의학의 이해, 경혈학, 자연의학총론, 심신상호작용론과 간호, 심신간호과정, 완화간호, 경혈간호학, 경락생리, 양생과 조양간호학, 통합간호, 치료마사지 등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명칭은 한방간호학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보완대체요법, 대체요법 순이었다.
이상과 같이 보완대체요법 교과과정 현황을 살펴본 결과 많은 학교에서 관련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으나 아직 체계적이지 못하며 임상에서 실제 적용하는데 필요한 실습 개설이 저조한 실정이다.
수요자의 요구와 사회적 변화에 맞는 교과목과 실습방법의 개발에 간호대학 교수진과 보완대체요법 전문가의 참여는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보완대체요법을 간호학의 중요한 교과과정으로 정착시켜 간호영역을 확대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이순희 (충주대 간호학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