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배우는 QI(22)-무균실 덧가운 해제, 감염발생 없고 비용절감
[편집국] 한국QI 간호사회 news@nursenews.co.kr 기사입력 2004-11-25 오전 09:14:18
서울아산병원 무균실에서는 HEPA filter & laminar air flow room 사용, 독방 사용, 병실에 들어갈 때마다 매회 소독된 새로운 마스크·모자·덧가운을 착용하는 등 엄격하게 보호격리를 하고 있다. 이중 덧가운 착용으로 발생되는 비용, 직원의 반복적인 덧가운 착용과 탈의로 인한 업무시간 증가, 덧가운 청구와 관리로 인한 업무시간 증가, 덧가운을 입은 의료진에 대한 환자의 거부감과 격리불안, 덧가운에서 발생하는 먼지로 인해 HEPA filter를 자주 교환해야 하는 등의 비용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덧가운 해제 전·후 병원감염률 분석을 통해 덧가운 착용효과를 분석하기로 했다. 환자 병실에 입실할 때마다 모든 의료진 및 방문객이 새로운 덧가운으로 갈아입던 지침을 변경해 의사는 무균실 입실시에만 소독된 덧가운을 입고 각 병실에 입실시에는 갈아입지 않는 것, 간호사는 무균실에 입실시 소독된 근무복으로 갈아입고 덧가운은 입지 않는 것, 조무원은 병실 입실시에만 덧가운을 입고 병실마다 입실할 때에는 갈아입지 않는 것, 성인환자의 보호자는 병실 첫 입실시에만 덧가운을 입는 것, 소아환자의 보호자는 8시간마다 덧가운을 교환하는 것, 청소 담당자는 병실 입실시마다 매번 소독된 새로운 덧가운으로 갈아입는 것 등으로 지침을 변경했다.
무균실에서 첫 번째 골수이식을 받은 성인환자를 실험군으로 해 병실 입실시마다 교환 착용하던 소독된 덧가운을 해제시킨 후 병원감염률을 전향적 방법으로 조사했다. 대조군에서는 무균실 내 덧가운 착용시의 병원감염률을 후향적 방법으로 조사했다.
조사결과 무균실내 덧가운 해제 전·후의 미생물학적으로 확인된 감염(MDI), 배양검사에서 균이 증명되지 않았지만 감염병소가 뚜렷하여 임상적으로 확인된 감염(CDI), 원인불명의 발열(UF) 모두에서 두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같은 결과를 토대로 무균실에서의 덧가운 착용을 해제하고 서울아산병원 무균실의 의료보호장구 지침을 개정했다. 덧가운 착용 및 관리와 관련된 직원의 업무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었으며, 응급상황과 병실에서 호출시 덧가운을 입는 시간이 없어짐으로써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해졌다.
2003년 덧가운 청구량은 2002년에 비해 7개월 동안 70.8%가 감소해 가운 소독비용이 크게 절감됐다. 중앙공급실에서의 덧가운 세탁, 소독, Delivery 업무가 감소됐다. 덧가운 먼지 감소로 인해 HEPA Filter 교환주기의 감소가 예상되며 이는 추후 결과분석을 통해 검증할 계획이다.
(한국QI 간호사회 / www.qi.or.kr)
이에 덧가운 해제 전·후 병원감염률 분석을 통해 덧가운 착용효과를 분석하기로 했다. 환자 병실에 입실할 때마다 모든 의료진 및 방문객이 새로운 덧가운으로 갈아입던 지침을 변경해 의사는 무균실 입실시에만 소독된 덧가운을 입고 각 병실에 입실시에는 갈아입지 않는 것, 간호사는 무균실에 입실시 소독된 근무복으로 갈아입고 덧가운은 입지 않는 것, 조무원은 병실 입실시에만 덧가운을 입고 병실마다 입실할 때에는 갈아입지 않는 것, 성인환자의 보호자는 병실 첫 입실시에만 덧가운을 입는 것, 소아환자의 보호자는 8시간마다 덧가운을 교환하는 것, 청소 담당자는 병실 입실시마다 매번 소독된 새로운 덧가운으로 갈아입는 것 등으로 지침을 변경했다.
무균실에서 첫 번째 골수이식을 받은 성인환자를 실험군으로 해 병실 입실시마다 교환 착용하던 소독된 덧가운을 해제시킨 후 병원감염률을 전향적 방법으로 조사했다. 대조군에서는 무균실 내 덧가운 착용시의 병원감염률을 후향적 방법으로 조사했다.
조사결과 무균실내 덧가운 해제 전·후의 미생물학적으로 확인된 감염(MDI), 배양검사에서 균이 증명되지 않았지만 감염병소가 뚜렷하여 임상적으로 확인된 감염(CDI), 원인불명의 발열(UF) 모두에서 두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같은 결과를 토대로 무균실에서의 덧가운 착용을 해제하고 서울아산병원 무균실의 의료보호장구 지침을 개정했다. 덧가운 착용 및 관리와 관련된 직원의 업무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었으며, 응급상황과 병실에서 호출시 덧가운을 입는 시간이 없어짐으로써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해졌다.
2003년 덧가운 청구량은 2002년에 비해 7개월 동안 70.8%가 감소해 가운 소독비용이 크게 절감됐다. 중앙공급실에서의 덧가운 세탁, 소독, Delivery 업무가 감소됐다. 덧가운 먼지 감소로 인해 HEPA Filter 교환주기의 감소가 예상되며 이는 추후 결과분석을 통해 검증할 계획이다.
(한국QI 간호사회 / www.qi.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