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 간호정책연구소 발족을 기원하며
김순자 (대한간호협회 간호사업자문위원)
[편집국] 김순자 kschung@nursenews.co.kr 기사입력 2004-02-05 오전 08:30:19
국제간호협의회(ICN)는 건강의 증진, 질병의 예방, 환자·불구자·임종자의 케어를 포괄하는 간호사의 주요 역할로 대변자의 역할, 환경안전 증진, 연구, 보건의료정책 입안과정에의 참여, 환자 및 보건의료체계 관리 그리고 교육 등이 포함됨을 명시하고 있다.
국제간호협의회는 2000년 발표한 성명서를 통해 다음 두 가지 내용을 강조했다.
첫째, 보건의료정책 개발과정에 기여하고 동시에 전문직 발전을 도모해야 할 간호사의 책임이 중요함을 인식하도록 촉구하는 것이다. 둘째, 회원 특히 지도자급 회원들이 해당지역, 국가, 국제적인 차원에서 보건의료정책 개발과정에 적극 참여하도록 지원해야 할 전문직단체의 책임과 역할을 강조한 것이다.
국민건강증진 등 공익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결성된 단체나 기구가 역할과 책임을 수행해 목적한 바를 성취할 수 있는가는 그 단체나 기구가 합리적으로 조직되어 있는가 그리고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가에 따라 성패가 좌우된다.
대한간호협회는 1979년 이래 주요 정책과제 중심으로 장기사업계획을 수립해왔고, 각 해당 연도의 사업계획은 이 틀 안에서 계획하고 집행해왔다. 장기사업계획 최종연도에는 성취 정도를 평가했고 그 결과에 따라 새로운 계획의 틀을 조정해 채택했다.
대한간호협회는 장기사업계획의 우선 주요정책과제로 `중앙회, 지부 및 산하단체 조직강화'를 지속적으로 채택해왔고, 1999년 용역연구를 의뢰함으로써 조직강화를 위한 본격적인 작업을 시작했다. 2001년 11월 시·도간호사회, 산하단체, 간호학계 전·현직 대표들로 구성된 `조직모델 개발을 위한 특별위원회'가 발족됐으며, 위원들의 헌신적이고 열성적인 활동에 힘입어 조직모델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특별위원회는 대한간호협회가 주어진 역할과 책임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조직을 구축해야 하며, 이는 중앙회와 시·도간호사회, 산하단체가 관장할 업무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이 관건임을 국제간호협의회 문헌을 비롯 국내외 관련 단체의 조직과 활동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분명하게 정리했다.
국제간호협의회는 협의회를 위시한 모든 회원국 간호협회의 역할과 책임을 세 기둥 즉, 전문직의 발전, 회원의 사회·경제·복지, 그리고 규제로 설정하고 이에 따라 사업을 계획하고 수행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특별위원회는 이 세 기둥을 대한간호협회 조직모델에 적용해 3가지 영역의 역할과 책임의 구체적인 내용을 분석했고 중앙회와 각 시·도간호사회, 산하단체가 주관할 업무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즉 전문직 발전에 관한 역할과 책임은 산하단체가, 회원의 사회·경제·복지에 관한 역할과 책임은 시·도간호사회가, 전문직 간호사의 자격과 면허와 관련되는 각종 규제는 중앙회가 주관하되 합리적인 의사수렴과정을 거쳐 통합 수행하도록 제안했다.
또한 간호전문직 자율규제, 적절한 정책입안과 추진을 위해 한국간호평가원과 간호정책연구소 설치를 각각 제안했고, 간호평가원은 이미 발족해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간호전문직과 관련된 정책은 궁극적으로 국민의 건강과 안녕에 연관된다. 정책을 입안하는데 필요한 자료들은 구체적이고 정확해야 함은 물론이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입안된 정책과의 연관성이다. 이렇듯 구체적이고, 정확하고, 연관성 있는 분명한 자료들을 활용하여 입안된 정책만이 설득력을 지니게 된다.
간호정책연구소는 간호전문직을 표현하는 고유한 자료들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기관이 된다. 간호정책연구소의 역할과 책임은 간호전문직과 관련되는 정책을 입안함으로써 대한간호협회 중앙회의 각종 규제 및 통제, 통합적인 역할은 물론이고 시·도간호사회와 산하단체로 하여금 회원의 사회·경제·복지 증진, 간호전문직의 발전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기여하는 것이다.
하루빨리 대한간호협회 간호정책연구소가 발족되길 기원한다.
국제간호협의회는 2000년 발표한 성명서를 통해 다음 두 가지 내용을 강조했다.
첫째, 보건의료정책 개발과정에 기여하고 동시에 전문직 발전을 도모해야 할 간호사의 책임이 중요함을 인식하도록 촉구하는 것이다. 둘째, 회원 특히 지도자급 회원들이 해당지역, 국가, 국제적인 차원에서 보건의료정책 개발과정에 적극 참여하도록 지원해야 할 전문직단체의 책임과 역할을 강조한 것이다.
국민건강증진 등 공익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결성된 단체나 기구가 역할과 책임을 수행해 목적한 바를 성취할 수 있는가는 그 단체나 기구가 합리적으로 조직되어 있는가 그리고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가에 따라 성패가 좌우된다.
대한간호협회는 1979년 이래 주요 정책과제 중심으로 장기사업계획을 수립해왔고, 각 해당 연도의 사업계획은 이 틀 안에서 계획하고 집행해왔다. 장기사업계획 최종연도에는 성취 정도를 평가했고 그 결과에 따라 새로운 계획의 틀을 조정해 채택했다.
대한간호협회는 장기사업계획의 우선 주요정책과제로 `중앙회, 지부 및 산하단체 조직강화'를 지속적으로 채택해왔고, 1999년 용역연구를 의뢰함으로써 조직강화를 위한 본격적인 작업을 시작했다. 2001년 11월 시·도간호사회, 산하단체, 간호학계 전·현직 대표들로 구성된 `조직모델 개발을 위한 특별위원회'가 발족됐으며, 위원들의 헌신적이고 열성적인 활동에 힘입어 조직모델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특별위원회는 대한간호협회가 주어진 역할과 책임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조직을 구축해야 하며, 이는 중앙회와 시·도간호사회, 산하단체가 관장할 업무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이 관건임을 국제간호협의회 문헌을 비롯 국내외 관련 단체의 조직과 활동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분명하게 정리했다.
국제간호협의회는 협의회를 위시한 모든 회원국 간호협회의 역할과 책임을 세 기둥 즉, 전문직의 발전, 회원의 사회·경제·복지, 그리고 규제로 설정하고 이에 따라 사업을 계획하고 수행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특별위원회는 이 세 기둥을 대한간호협회 조직모델에 적용해 3가지 영역의 역할과 책임의 구체적인 내용을 분석했고 중앙회와 각 시·도간호사회, 산하단체가 주관할 업무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즉 전문직 발전에 관한 역할과 책임은 산하단체가, 회원의 사회·경제·복지에 관한 역할과 책임은 시·도간호사회가, 전문직 간호사의 자격과 면허와 관련되는 각종 규제는 중앙회가 주관하되 합리적인 의사수렴과정을 거쳐 통합 수행하도록 제안했다.
또한 간호전문직 자율규제, 적절한 정책입안과 추진을 위해 한국간호평가원과 간호정책연구소 설치를 각각 제안했고, 간호평가원은 이미 발족해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간호전문직과 관련된 정책은 궁극적으로 국민의 건강과 안녕에 연관된다. 정책을 입안하는데 필요한 자료들은 구체적이고 정확해야 함은 물론이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입안된 정책과의 연관성이다. 이렇듯 구체적이고, 정확하고, 연관성 있는 분명한 자료들을 활용하여 입안된 정책만이 설득력을 지니게 된다.
간호정책연구소는 간호전문직을 표현하는 고유한 자료들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기관이 된다. 간호정책연구소의 역할과 책임은 간호전문직과 관련되는 정책을 입안함으로써 대한간호협회 중앙회의 각종 규제 및 통제, 통합적인 역할은 물론이고 시·도간호사회와 산하단체로 하여금 회원의 사회·경제·복지 증진, 간호전문직의 발전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기여하는 것이다.
하루빨리 대한간호협회 간호정책연구소가 발족되길 기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