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간호사 제도의 본격적인 시행에 앞서 전문간호사 교육의 틀을 살피고 평가방법 등을 이론적으로 접근해보는 자리가 마련됐다.
성균관대 임상간호대학원(원장·이정희)은 `전문간호사 교육의 이론적 접근' 주제의 개원기념 학술대회를 5일 개최했다.
이날 강연을 맡은 김혜숙 교수(미국 로드 아일랜드대 간호대학)는 "전문간호사는 간호이론이나 연구에 기초한 전문적인 실무능력을 가지고 환자에게 통합적인 직접간호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며 전문간호사의 역량(competency)을 임상리더십(clinical leadership), 조정(coordination), 협력(collaboration), 영향력 있는 변화(effecting change)로 구분해 설명했다.
김 교수는 "임상리더십은 간호실무 및 환자와 간호사에 대한 교육능력을, 조정은 환자 그룹에 대한 간호업무 조정 및 자원 동원능력을, 협력은 타 분야 전문가와의 의사소통능력, 영향력 있는 변화는 보건의료정책에 참여해 보건의료서비스를 향상시키는 능력을 말한다"면서 "전문간호사는 이같은 역량을 발휘하기 위해 각각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 태도를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전문간호사는 석사학위 과정을 통해 양성돼야 한다"며 "교육은 간호학 석사학위 과정에서 이뤄지는 기본 교육을 비롯해 전문간호사를 위한 공통교육과 하부 전공영역에 대한 전문교육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교수진에는 최소 1명 이상의 전문간호사를 포함시켜 학생들의 역할모델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교육에 대한 평가는 졸업생들의 자격시험 합격률, 졸업생들의 실무능력 및 성과, 전문간호사와 병원 측의 만족도 등을 토대로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자리에서 진행근 보건복지부 보건자원과장은 `전문간호사 정책추진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이월숙 기자 moonlee@nurs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