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결핵환자의 치료성공률 향상을 위해 환자의 상황에 따라 △진단 △복약관리 △사회복지서비스 연계 △전문치료 지원을 하는 ‘결핵환자 맞춤형 통합관리’ 사업을 6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민간·공공협력 결핵관리사업(Public-private Mix, PPM) 참여의료기관과 보건소가 협력해 결핵환자의 진단부터 치료종료까지 통합해 관리하는 사업이다.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된다.
①결핵환자 진단 시 약제감수성검사 여부를 확인한다.
②환자별 취약성평가 결과에 따라 복약관리 방향을 설정하고(맞춤형 복약관리), 취약도가 높은 중-고위험군 환자는 적절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연계한다(맞춤형 사례관리).
③다제내성결핵환자는 전문의료기관(64개소)에서 치료받을 수 있도록 안내한다.
다제내성결핵환자 중 전문의료기관으로 전원이 불가능하더라도, 보건소-의료기관-다제내성결핵 컨소시엄(전문가 협의체) 간 사례관리회의 및 약제구성 컨설팅을 통해 전문치료관리를 지원한다(다제내성결핵 집중관리).
이번 사업은 결핵환자가 사회경제적 문제, 질병에 대한 인식 부족 등으로 치료를 중단하지 않고 완료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됐다.
결핵 완치를 위해 감수성결핵은 6개월, 다제내성결핵은 6∼20개월 동안 적절한 항결핵제를 꾸준히 복용해야 한다. 치료 중 항결핵제를 임의 중단하는 경우 재발하거나 약제에 대한 내성을 획득해 다제내성결핵으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치료 완료 시까지 지속적인 약제 복용이 매우 중요하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의료기관과 보건소가 함께 결핵환자의 임상적·사회경제적 상태를 파악하고 맞춤형 환자관리로 모든 결핵환자가 성공적으로 결핵을 완치할 수 있도록 꼼꼼히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