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유일의 국립대병원인 세종충남대병원(원장 나용길)은 코로나19 전담병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세종충남대병원은 최근 수도권을 비롯한 세종과 대전, 충남지역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함에 따라 이미 설치된 음압격리병실을 가동해 39명(기존 입원환자 7명, 3월 30일 확진자 19명, 3월 31일 확진자 13명)의 확진자를 치료 중이다.
병원은 감염병 전담 병동인 52병동에 21개 병상(중증치료 병상 4개 포함)을 비롯해 81병동과 82병동에 68개의 병상을 추가로 확보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치료 병상 운영에 따른 원내 감염 우려에 대해 설계부터 감염병 차단을 위한 완벽한 클린존으로 구축해 안전을 확보했다는 게 병원 측의 설명이다.
감염병 원내 차단을 위해 층별·실별 공조 시설을 완비했으며, 수술실은 의료진과 환자의 동선이 분리되도록, 엘리베이터는 일반인과 환자의 동선이 분리되도록 건축했다.
모든 중환자실에 음압 적용이 가능하고 수술실, 주사실, 진료실, 투석실도 음압 적용이 가능한 공간으로 설계됐다.
감염내과와 호흡기내과, 소아청소년과, 중환자의학과 등의 의료진이 코로나19 치료와 관련한 중증환자 치료에 필요한 매뉴얼을 만들어 최일선에서 주치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다른 의료진의 자문을 통한 철저한 협업 진료 시스템이 구축돼 있다.
이와 함께 최근 무증상 또는 경증환자 격리 치료시설로 사용되던 충남 아산 경찰인재개발원(충청권 생활치료센터)이 폐쇄됨에 따라 세종충남대병원이 생활치료센터 역할까지 하고 있다.
이재환 진료처장(심장내과 교수)은 “최근 대전과 세종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증가함에 따라 중증환자 치료뿐 아니라 생활치료센터 역할까지 수행하는 등 감염병 전담병원으로서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며 “세종충남대학교병원은 설계부터 원내 감염을 차단할 수 있는 최첨단 시스템으로 건축된 만큼 내원객들은 불안감을 갖지 않아도 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