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전체 육아휴직자 4명 중 1명은 아빠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20년 남성 육아휴직자 수는 2만7423명으로, 2019년 2만2297명에 비해 23.0% 증가했다.
전체 육아휴직자 중 남성 육아휴직자의 비율도 지속적으로 높아져 2019년 21.2%에서 2020년 24.5%로 증가했다. 육아휴직자 4명 중 1명은 남성인 셈이다.
0... 2020년 민간부문의 전체 육아휴직자 수는 11만2040명으로 2019년(10만5165명)과 비교했을 때 6.5% 증가했다.
우선지원대상기업(중소기업) 소속 육아휴직자 수는 5만9838명으로 2019년(5만3884명) 대비 11.0% 늘어 대규모기업(1.8%)보다 큰 폭으로 증가했다. 특히 중소기업 소속 남성 육아휴직자의 비중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9년 9695명에서 2020년 1만2662명으로 30.6% 증가했다. 반면 여성은 2019년 4만4189명에서 2020년 4만7176명으로 6.8% 증가했다.
기업규모별로 육아휴직자 수를 세분화해 살펴보면 ‘30인 이상 100인 미만 기업’의 육아휴직자 증가율이 13.1%로 가장 높았다. ‘10인 이상 30인 미만 기업’의 육아휴직자 증가율은 8.5%였다.
0... 2020년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이용자 수는 1만4698명으로 2019년(5660명) 대비 159.7% 증가했다. 남성 근로자는 전년 대비 120.9%, 여성 근로자는 165.5% 증가해 여성 증가율이 더 높았다.
황보국 고용노동부 통합고용정책국장은 “2020년에도 부모가 함께 아이를 돌보는 맞돌봄 문화 확산과 ‘부부 동시 육아휴직 허용’ 등 제도 개선으로 육아휴직자 수가 크게 증가했다”면서 “앞으로도 근로자들이 일과 육아를 슬기롭게 병행할 수 있도록 육아휴직제도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과 지원제도 안내에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