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의료데이터 중심병원 지원사업’을 통해 의료데이터 활용생태계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의료데이터 중심병원 지원사업은 2020년 6월부터 시작됐다. 잠재가치가 높으나 의료기관별로 쌓여있던 의료 빅데이터를 공개하고 연결해 의료서비스 질 개선과 산·학·연 공동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0... 2020년 의료데이터 중심병원 지원사업에는 5개 연합체(컨소시엄)가 공모를 거쳐 선정됐다. 총 25개 병원, 38개 민간기업이 참여해 누적환자 수 4700만명에 달하는 대규모 임상데이터를 기반으로 임상 빅데이터 활용 활성화 기반을 조성했다.
컨소시엄 주관병원은 부산대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등 5개 병원이다. 참여병원은 경북대병원, 전남대병원, 서울시보라매병원,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아주대병원 등 20개 병원이다. 참여기업은 네이버비지니스플랫폼, 스마트헬스표준포럼, 한미약품, 이지케어텍 등 38개 기관이다.
0... 의료데이터 중심병원에서는 의료기관이 독점·폐쇄적으로 관리·운용하던 의료 빅데이터의 2차 활용을 위해 △의료데이터저장소(CDW:Clinical Data Warehouse) 구축 △데이터 호환‧연계‧결합을 위한 표준화 △암, 심뇌혈관, 호흡기 등 24개 질환별 특화 데이터베이스(DB) 구축 △개방형 데이터 제공 포털 가동 등 데이터 활용 파이프라인을 체계화했다.
특히 그간 외부에서는 대형병원 의료데이터에 접근이 쉽지 않았으나 이번 사업을 통해 활용가치가 높은 통합형 의료 빅데이터가 연구목적으로 폭넓게 개방됐다.
무질서하게 흩어져 저장돼 있던 의료데이터를 주요질환별 데이터 한 벌(세트)로 가공해 연구분석에 최적화시켰다. 분석용 데이터로 활용이 어려웠던 영상·그림(이미지)·문서(텍스트) 등 데이터를 의료인공지능이 학습하기 쉽도록 정형화해 인공지능 개발을 지원했다.
또한 의료기관의 정보책임자를 부원장급으로 격상하고, 데이터 전담조직을 운영했다. 이로써 보건의료데이터 활용이 병원정보화 수준에서 탈피해 의료기관의 핵심가치와 운영전략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했다.
0... 5개 컨소시엄별 대표성과는 다음과 같다.
△부산대병원=빅데이터 연구지원 포털시스템 구축, 수면질환 특화DB 구축 및 활용.
△삼성서울병원=빅데이터 연구지원 포털시스템 구축(DARWIN-C), 건강검진 코호트 데이터 확보.
△서울대병원=빅데이터 연구지원 포털시스템 구축(SUPERB), COVID-19 특화DB 구축, 용어표준화위원회 구성·운영.
△서울아산병원=빅데이터 연구지원 플랫폼 구축, 빅데이터 활용 경진대회,임상데이터 개방.
△세브란스병원=빅데이터 연구지원 포털시스템 구축(SOBIG), 원내 빅데이터 분석실 구성, 데이터 품질관리 시스템 구축, COVID-19 특화DB 및 대시보드 구축, 사전설문용 모바일 앱 구축 및 적용.
0... 보건복지부는 올해 의료데이터 중심병원 선정을 전문병원 등 2차 의료기관까지 확대시킬 계획이다.
또한 체감할 수 있는 데이터 활용성과를 만들기 위해 지난해 구축된 연구용 데이터세트와 개방형 연구지원 포털을 기반으로 산업계, 대학, 의료기관 등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다기관 공동연구를 활성화할 방침이다. 의료인공지능 개발을 위한 학습용 데이터 제공에도 역량을 집중한다.
보건복지부 임인택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의료데이터 중심병원은 지속가능한 보건의료데이터 생태계 조성의 핵심기반”이라며 “연결-개방-활용이라는 키워드로 의료혁신과 산업혁신을 앞당길 보건의료빅데이터 활용 생태계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