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환경 변화를 반영해 국가성평등지수가 개편된다.
국가성평등지수는 우리나라의 성평등 실태와 개선 정도, 성불평등 정도가 높은 분야와 그 원인을 파악할 목적으로 2009년 개발됐다. 지난 10년간 지표체계에 큰 변화 없이 유지돼 왔다.
그러나 일부 지표가 최근 사회 변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정책적 활용도가 낮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여성가족부는 지난해부터 국가성평등지수 개편 및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를 추진해 왔다.
현행 국가성평등지수는 △성평등한 사회참여 △여성의 인권·복지 △성평등 의식·문화 등 3개 영역, 8개 분야, 25개 지표로 구성됐다.
이번에 마련된 국가성평등지수 개편안은 △동등한 권한 △자원의 동등한 접근 △평등한 관계 등 3대 목표, 7개 영역, 24개 지표로 구성됐다.
기존 25개 지표 가운데 셋째아 이상 출생 성비, 재직자직업훈련 참여 근로자 성비 등 시의성과 관련성이 낮은 지표는 삭제했다. 대신 노동시장 직종 분리, 경력단절여성 비율 등 신규 지표를 추가했다. 또한 성역할 고정관념과 양육태도 등 젠더의식을 측정하도록 했으며, 여성폭력은 분리해 위성지수로 관리하도록 했다.
한편 여성가족부는 ‘국가성평등지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공청회’를 11월 9일 개최했다. 국가성평등지수 개편 및 활용 방향에 대해 의견을 수렴하고자 마련했다. 여성가족부, 권인숙 국회의원, 김정재 국회의원이 공동주최했으며, 중앙대 산학협력단이 주관했다.
이정옥 여성가족부 장관은 인사말에서 “성평등 사회 실현을 위해서는 우리 사회의 성불평등 현실과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취약한 부분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오늘 공청회가 우리사회의 성평등 수준을 한 단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여성가족부는 공청회에서 나온 의견을 국가성평등지수 개편 등 제도 개선에 활용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