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족 중 10년 이상 거주자가 2009년 15.6%에서 2018년 60.6%으로 증가했다. 장기 거주로 한국생활 적응력은 높아졌지만, 사회적 관계의 어려움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2018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실태조사는 '다문화가족지원법' 제4조에 따라 3년마다 실시하고 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국의 다문화가구는 30만6995가구로 2015년 27만8036가구에서 10.4% 증가했다. 결혼이민자 가구 85.7%(26만2969가구), 기타귀화자 가구 14.3%(4만4026가구)이다.
결혼이민자·귀화자의 평균 가구원 수는 2.92명, 평균 자녀수는 0.95명이다. 10년 이상 거주자는 60.6%로 2009년 15.6%, 2012년 36.1%, 2015년 47.9% 대비 증가해 장기 정착 경향을 보이고 있다.
결혼이민자·귀화자의 고용률은 66.4%(여성 62.5%, 남성 85.3%)로 2015년에 비해 2.5%p 증가했다. 월 소득은 200∼300만원 미만이 26.1%로 가장 많았고, 100∼200만원 미만 22.4%, 300∼400만원 미만 20.1% 순으로 뒤를 이었다.
결혼이민자·귀화자의 한국생활 적응도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한국어능력이 5점 만점에 3.89점으로 2015년 3.81점 보다 높아졌다. 차별을 경험한 비율은 30.9%로 2015년 40.7%에 대비해 감소했다. 한국생활에 어려움이 없는 경우는 29.9%로 2015년 25.7% 보다 4.2%p 증가했다.
반면 사회적 관계의 어려움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개인적인 문제에 대해 도움을 받거나 의논할 사람이 한국에 없다는 비율이 2015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취미 생활을 같이할 사람(40.7%)' `몸 아플 때 도움 요청할 사람(38.5%)' `자녀 교육 관련 의논할 사람(33.9%)' `자신이나 집안의 어려움을 의논할 사람(32.7%)'이 없다고 응답했다.
일자리 관련 의논할 상대가 없다는 비율은 29.0%로 2015년 대비 다소 감소했다.
여성가족부는 다문화가족의 장기 정착 경향을 반영해 관련 정책을 전환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