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 임금 개선 표준화 시급
환자안전 시설·장비에 투자해야
공공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의무화 대책 토론회 개최에 앞서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공공병원 간호부서장들이 고충을 털어놓고 개선방안을 건의하는 간담회가 7월 12일 국회에서 열렸다. 더불어민주당 인재근 국회의원, 김상희 국회의원, 기동민 국회의원이 주최하고, 대한간호협회가 주관했다. 의료법에 따르면 공공병원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의무적으로 제공하도록 돼 있다.
이날 인사말을 한 김옥수 대한간호협회장은 “전국에서 귀한 발걸음을 해주신 간호부서장님들께 감사드린다”면서 “공공병원에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가 성공하기 위해선 우선 간호사 수급 불균형 문제가 해결돼야 하며, 근본적으로 처우와 근무환경이 개선돼야 간호사 쏠림 현상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간담회에서 간호부서장들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환자와 보호자들의 간병비 부담을 줄이고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제도로 다함께 힘과 지혜를 모아 성공시켜야 한다”면서 “하지만 공공병원에게 의무만 주어지고 실제로 일을 할 간호사에 대한 지원, 시설과 장비에 대한 투자에는 무관심하고 인색한 게 현실”이라고 입을 모았다.
우선, 간호사 수급 불균형 문제를 해결해야 하기 위해선 임금을 현실화시키고 표준화하는 게 시급하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성패가 간호사 확보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실제 간호사 수급 상황에 따라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공공병원부터 참여할 엄두를 못 내고 있는 곳까지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부서장들은 “임금이 낮고 근무환경이 열악한 병원에서 일하고 싶은 간호사를 구하기 어려운 건 너무 당연한 일이고, 지속적으로 근무하도록 유지시키는 건 더 어렵다”면서 “부족한 인력으로 밀어붙이고 끌어 나가다보니 악덕 관리자가 되는 것 같아 씁쓸하다”고 토로했다.
둘째, 간호·간병통합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병원 시설과 장비에 투자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간호부서장들은 “노인환자의 비율이 높은 만큼 낙상 등 안전사고 대책과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확실하게 마련돼야 간호사들이 마음 놓고 일할 수 있다”면서 “전동침대, 낙상방지센서 등 기본적인 장비를 갖출 수 있도록 국가 차원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셋째, 간호·간병통합서비스에 대한 올바른 홍보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모아졌다.
간호부서장들은 “간호사 1명이 환자 1명만 전담해주는 것으로 알고 있는 환자나 보호자가 많고, 간병서비스를 넘어서 개인 심부름을 요구하는 등 인식 수준이 천차만별”이라면서 “국민들에게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취지와 내용에 대해 정확하게 알려주는 홍보활동을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해달라”고 제안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공공병원의 특성상 저소득층, 도시 빈민층, 취약계층 환자가 많은 만큼 이들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로부터 소외되지 않도록, 국민들의 건강권에 격차와 쏠림이 생기지 않도록 우리 사회가 함께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특히 “남자간호사가 공중보건의료인으로 근무하면서 병역의무를 이행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은 병역법 및 농특법 개정안이 발의돼 고무적”이라면서 “법 개정안이 꼭 통과돼 공공병원의 간호사 수급에 숨통이 트이길 기대한다”는 목소리도 높았다.
공청회를 주최한 의원실 보좌관들은 “오늘 수렴된 의견들이 토론회에서 잘 반영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면서 “대한간호협회를 중심으로 공공병원 간호부서장들이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활동하시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