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전증 진료인원이 14만명에 달하며, 10∼20대 및 70대 이상 환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뇌전증’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가 2010년 14만1251명에서 2015년 13만7760명으로 2.5% 감소했다고 밝혔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은 7만8824명에서 7만6736명으로, 여성은 6만2427명에서 6만1024명으로 줄었다.
이는 소아기 및 노인에서 뇌전증의 원인질환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이준홍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교수는 “소아는 출생 전후 뇌손상, 뇌염증성질환이나 유전성질환 등을 관리 및 치료하고, 노인은 뇌혈관질환이나 치매 등의 퇴행성 뇌질환 및 낙상 등으로 인한 뇌손상을 적극 치료함으로써 발생률이 감소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2015년 기준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대가 15%로 가장 많았다. 40대 14.2%, 10대 14.1%가 뒤를 이었다. 남성은 20대가 16%로 가장 많았으며, 여성은 40대가 14.2%로 가장 많았다.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남성은 70대 이상이 447명으로 가장 많고 10대 380명, 20대 342명 순이었다. 여성은 10대와 70대 이상이 323명으로 가장 많고 20대 262명 순으로 나타났다.
10∼20대와 70대 이상 환자가 많은 이유는 뇌전증 발생률이 생후 1년 이내에 가장 높다가 청소년기를 거쳐 장년기에 낮아졌다가 60대 이상 노인 연령층에서 다시 급격히 증가하는 U자 형태를 보이기 때문이다.
이준홍 교수는 “노인 연령층에서 발생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이유는 뇌졸중이나 퇴행성 뇌질환의 증가로 인한 증상뇌전증의 발생 때문이며, 최근에는 소아환자가 줄어들고 노인환자가 증가하는 현상이 더욱 심화되는 경향”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