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가정 양립 정책이 효과가 있다고 응답한 국민이 10명 중 7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장관·강은희)는 주요 일·가정 양립 정책에 대한 국민체감도 설문조사를 19∼59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일·가정 양립 정책에 대한 효과성, 필요도, 인지도 등을 파악하기 위해 마련됐다.
일·가정 양립 정책 전반에 대해 효과가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74.2%이며, 필요하다고 응답한 사람은 90.5%였다. 정책에 대한 인지도는 77.0%로 나타났다. 인지도는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자녀가 있는 가정일수록, 기혼일수록 높았다.
일·가정 양립 제도 미활용 사유로는 ‘직장 내 분위기’가 68.8%로 가장 많았다.
일·가정 양립 제도 확산을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는 ‘사업주 인식 개선’이 41.5%로 가장 높았고, 이어 ‘정부지원 강화’(38.6%), ‘모니터링 및 점검 강화’(13.9%), ‘정책홍보 강화’(5.2%) 순으로 나타났다.
일·가정 양립 제도 중 효과성, 필요도, 인지도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난 제도는 ‘출산휴가’였다.
제도별 효과성은 출산휴가, 국공립·공공형 및 직장 어린이집 확충, 육아휴직, 아이돌봄 서비스 순으로 나타났다.
제도별 필요도는 출산휴가, 육아휴직, 국공립·공공형 및 직장 어린이집 확충, 남성육아휴직·배우자출산휴가 순으로 나타났다.
제도별 인지도는 출산휴가, 육아휴직, 맞춤형보육, 남성육아휴직·배우자출산휴가 순으로 나타났다.
여가부는 “앞으로 일·가정 양립 정책들이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는지 다각적으로 점검·환류해 효과성을 높여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