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칼럼-`간호연구 윤리헌장' 제정 의미
소향숙(한국간호과학회 기획법제이사.전남대 간호대학 교수
[전남대간호대학교수] 소향숙 news@nursenews.co.kr 기사입력 2006-11-23 오전 10:17:15

줄기세포연구 논란을 계기로 연구와 학술분야의 부정행위가 심심찮게 지상에 공개되고 있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표절 등 연구 부정행위 개연성이 제기돼 왔다. 그러나 자체적인 검증 노력 부족과 부정행위에 대한 제보 창구 및 연구 진실성 검증 시스템 미비로, 그 검증이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못했다. 결국 학계의 자정활동 없이 언론을 통해 이러한 사실이 먼저 공개되기 시작하면서 사회적 갈등과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하지만 다행스럽게 이 모든 논란이 갈등과 혼란의 선에서만 그치지는 않고 있다. 국내외적으로 범정부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학계 자체적으로 연구학술 윤리규정의 필요성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올바른 연구풍토 조성을 위한 윤리규정 제정이 추진되고 있는 시점에 이르렀다.
선진국의 경우, 독일은 1997년 독일연구재단에서 `훌륭한 학문연구를 위한 권고안'을, 영국은 1998년 과학기술청과 8개 연구회 공동으로 `바람직한 연구수행을 위한 보호조항'을, 2000년 미국연방정부는 `연구 부정행위에 대한 연방지침'을 제정했다.
일본은 대형 연구기관들이 연구윤리규정을 활발히 마련하고 있다. 일본학술회의는 `과학자의 행동규범'을 발표했으며, 일본 정부는 연구 부정 및 연구비 부정사용 방지책을 올해 말까지 수립할 예정이다.
우리 정부도 연구 부정행위 예방을 위해 `연구윤리.진실성 가이드라인'을 만들기로 하고 공청회 등의 과정을 거쳐 최근 이를 확정했다.
이러한 시점에 한국간호과학회는 자체적으로 윤리헌장과 윤리규정을 제정했다.
우리 정부의 `연구윤리.진실성 가이드라인'과 `뉘른베르그 윤리강령' `헬싱키 선언' `한국간호사 윤리강령' 등을 토대로 했다.
윤리헌장은 10개 조항으로, 규정은 5장(총칙, 위원회, 연구, 출판 및 발표, 징계심의)으로 구성됐다. 간호연구의 진실성과 공정성, 민주성, 윤리성, 사회적 책무성 준수의 의무에 관한 내용을 담았다.
이는 이사회 심의 의결을 거친 상태이며 2007년 1월 10일 총회 인준만을 남겨놓고 있다. 이때까지 학회 홈페이지에 이를 공개해 놓고 회원들에게 홍보할 계획이다.
이러한 세계적인, 간호학계를 포함한 사회 전반의 움직임들은 연구윤리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괄목할 만하다. 최근 언론에 공개된 한 교수의 논문 데이터 중복사용이 언론이나 외부의 지적이 아닌 `내부 제보'를 통해 알려지게 된 것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동안 관행으로 치부돼왔던 연구학술 영역의 부적절행위와 부정행위가 이제는 바뀌어야 할 일, 개선해 나가야 할 일로 인식이 전환되고 자정활동이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간호연구 윤리헌장 및 규정은 간호학 연구의 자정능력 함양이라는 측면에서 간호학자들에게 큰 의미를 던져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연구윤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간호학자들도 더욱 연구윤리와 진실성에 입각한, 자체적으로 정화되고 진보된 간호과학자로서 발돋움해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윤리성은 간호학자 스스로가 선언하고 약속해야 할 문제이며 대외적으로도 공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올바른 간호연구윤리 풍토가 조성될 수 있으리라 본다.
소향숙(한국간호과학회 기획법제이사.전남대 간호대학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