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인력별 업무영역 설정 연구 추진
간협, 복지부 연구용역 진행 … 공청회 열어 의견수렴
[편집국] 정규숙기자 kschung@koreanurse.or.kr 기사입력 2012-03-13 오후 15:45:40

대한간호협회는 `진료현장을 고려한 간호인력별 적정 업무영역 설정 연구 공청회'를 3월 6일 열었다. 간호협회는 보건복지부로부터 용역을 받아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연구과정의 일환으로 이날 공청회를 열어 각계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이날 주제발표를 한 박소영 서일대 겸임교수는 “환자의 안전과 의료서비스의 질 보장을 위해 간호인력별 업무영역을 합리적으로 명확하게 구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정토론이 진행됐다. 김준현 건강세상네트워크 환자권리연구팀장은 “의료서비스의 공적 역할을 강화하겠다는 취지하에 간호인력 간 업무영역이 확립돼야 한다”고 말했다. 양미경 전국특성화고등학교 보건간호교과연구회장은 “간호조무사의 직무영역을 명시하고 이에 맞는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최경숙 보건복지자원연구원 상임이사는 “환자들의 절반 정도만이 자신에게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이 누구인지 알고 있다”면서 “간호인력의 역할 구분에 있어 국민들의 의견이 함께 반영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백휴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책임연구원은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업무영역을 명확히 구분할수록 갈등은 더욱 조장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경희 세브란스병원 외래간호팀장은 “간호인력 간의 업무와 책임을 명확히 규명해 법제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미정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부위원장은 “업무분장과 인력기준 마련을 병행해서 풀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현정희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 부위원장은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원하는 국민의 요구와 권리가 보장돼야 한다”면서 “진료보조의 범위와 한계에 대한 명확한 행위규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현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평생직업교육연구실 연구원은 “국민의 건강·안전과 직결된 업무수행에 따른 책임소재를 분명히 하기 위해 간호인력의 업무범위를 설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간호협회는 대한병원협회에 공청회 지정토론자로 참석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병원협회 측은 자체 사정으로 불참했다.
대한간호조무사협회에도 지정토론자로 참석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간호조무사협회는 공청회 개최 당일 토론 참여를 거부하고 공청회장 앞에서 이번 연구용역을 중단할 것을 주장하며 시위를 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