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진료소 자체수입으로 건실 운영
노인 대상 방문진료 크게 늘어
[편집국] 백찬기 ckbaik@nursenews.co.kr 기사입력 2001-10-11 오전 09:19:59
보건진료소 10곳중 9곳은 자체 진료수입만으로 운영이 가능하며 70%는 운영기금으로 주민 환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관할 주민의 고령화와 만성질환자 증가로 인해 보건진료원의 업무량이 지나치게 과다한 것으로 지적됐다.
이는 최영희 의원(민주당·전 대한간호협회장)이 지난달 1일부터 보름간에 걸쳐 전국 664개 보건진료소를 대상으로 '보건진료원의 근무여건 및 의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밝혀진 것이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보건진료소 자체 진료수입만으로 56%(375개소)가 '운영에 문제가 없다'고 응답했으며 38%(252개소)는 '현상유지를 하고 있다'고 답해 94%의 보건진료소가 자체 수입만으로도 운영에 별다른 어려움을 겪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운영기금으로 주민 환원사업을 하고 있는 곳도 74%(491개소)에 달해 대부분의 보건진료소가 건실하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216개소(33%)의 보건진료소는 주민중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20% 이상이라고 응답했으며, 16∼20%와 10∼15%라고 응답한 곳도 각각 179개소(27%)와 256개소(39%)에 달해 노인인구 비율이 전반적으로 크게 높았다.
이같은 주민들의 고령화 현상으로 인해 방문진료가 보건진료원의 주요 업무중 하나가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차량 유류비로 1인당 평균 10∼20만원을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관장하고 있는 행정구역은 대부분 3개 리(里) 이상이었으며 보건진료소 운영에 있어 가장 먼저 개선돼야 할 부분으로 '활동비 현실화' '업무조정' '보건진료소 수 확대' 등을 꼽았다.
최 의원은 "이번 조사를 통해 보건진료원제도는 결코 낭비되는 제도가 아니며 경제적 타당도 역시 높은 것으로 입증됐다"고 말하고 "현재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보건진료소의 폐소 및 통폐합은 잘못된 일"이라고 강조했다.
최 의원은 또 "이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보건진료소 설치기준을 농어촌보건의료등에관한특별법에 명시하는 것이 시급하며 지역특성에 맞게 기능을 탄력적으로 조정하고 노인성 퇴행성 만성질환을 가진 대다수 주민들의 증상관리를 위해 사용의약품 수도 확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백찬기 기자 ckbaik@nursenews.co.kr
이는 최영희 의원(민주당·전 대한간호협회장)이 지난달 1일부터 보름간에 걸쳐 전국 664개 보건진료소를 대상으로 '보건진료원의 근무여건 및 의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밝혀진 것이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보건진료소 자체 진료수입만으로 56%(375개소)가 '운영에 문제가 없다'고 응답했으며 38%(252개소)는 '현상유지를 하고 있다'고 답해 94%의 보건진료소가 자체 수입만으로도 운영에 별다른 어려움을 겪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운영기금으로 주민 환원사업을 하고 있는 곳도 74%(491개소)에 달해 대부분의 보건진료소가 건실하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216개소(33%)의 보건진료소는 주민중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20% 이상이라고 응답했으며, 16∼20%와 10∼15%라고 응답한 곳도 각각 179개소(27%)와 256개소(39%)에 달해 노인인구 비율이 전반적으로 크게 높았다.
이같은 주민들의 고령화 현상으로 인해 방문진료가 보건진료원의 주요 업무중 하나가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차량 유류비로 1인당 평균 10∼20만원을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관장하고 있는 행정구역은 대부분 3개 리(里) 이상이었으며 보건진료소 운영에 있어 가장 먼저 개선돼야 할 부분으로 '활동비 현실화' '업무조정' '보건진료소 수 확대' 등을 꼽았다.
최 의원은 "이번 조사를 통해 보건진료원제도는 결코 낭비되는 제도가 아니며 경제적 타당도 역시 높은 것으로 입증됐다"고 말하고 "현재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보건진료소의 폐소 및 통폐합은 잘못된 일"이라고 강조했다.
최 의원은 또 "이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보건진료소 설치기준을 농어촌보건의료등에관한특별법에 명시하는 것이 시급하며 지역특성에 맞게 기능을 탄력적으로 조정하고 노인성 퇴행성 만성질환을 가진 대다수 주민들의 증상관리를 위해 사용의약품 수도 확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백찬기 기자 ckbaik@nursenews.co.kr